2018-12-28

그로우랜서3 한글판 PS2


2001년 12월에 나온 게임. 전투만 턴제 시뮬레이션이고, 사실상 RPG라고 할 수 있다. 공식 한글화라곤 하지만, 오역도 있고, 입에 안 붙는 직역투가 난무해서 게임의 격을 떨어뜨리는 번역이었다. 그냥 뜻만 통하는 걸로 만족.


전편을 안 해본 상태에서 3편을 잡은 건, 3편 시간대가 1, 2편보다 앞서 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2편 클리어 세이브가 있으면, 후반부에 2편 캐릭터를 소환할 수 있다는 점이 끌렸다. 하지만, 인터넷에서 찾은 건 일본어판 2편 세이브뿐이었고, 이건 한글판 3편에 호환되지 않아서 소환은 실패했다.


진행할 때 큰 문제는 마법 동영상이 나오거나 미션 클리어하는 순간, 다운되는 경우가 잦다는 것이었다. 에뮬의 문제라기보단 게임 자체의 버그로 보인다. 다운될 때마다 강제세이브와 로드를 이용해 어찌어찌 라스트 배틀까지 진행했지만, 또 다운되자 깔끔히 포기했다. 참고 다시 할 정도로 재미나진 않았기 때문이다. 인터넷으로 엔딩 장면은 대충 확인했다.


게임 자체 완성도는 나쁘지 않았다. 진행이 쾌적한 편이고 행동에 따른 엔딩의 변화, 숨겨진 요소 등 게임성도 있다. 랑그릿사의 일러스트레이터였던 유명한 우루시하라 사토시의 원화도 좋다. 그러나 스토리에 힘이 없어서 밋밋하다. 여성 캐릭터도 아네트 말고는 딱히 매력이 느껴지지 않는다.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인 게임. 그로우랜서 시리즈는 원래 연애 요소를 넣은 점이 특징이라는데, 3편은 좀 약한 것 같다. 연애하고 싶은 캐릭터도 별로 없고, 그런 장면도 많지 않다.

2018-12-25

천외마경 풍운 가부키전 PSP


풍운 가부키전은 1993년 7월, PC엔진용으로 나왔고, 2008년엔 PSP의 천외마경 컬렉션에 수록되었다. 나는 PSP판으로 시작했다. PC엔진판과 차이점은 없지만, 치트 쓰기가 더 편해서다. 걸음속도 3배+경험치 최대+조우율 0% 치트를 써서 쾌적했다. PSP판은 화면 양옆 빈 곳을 천외마경 무늬로 메워준다.


풍운 가부키전은 천외마경1으로부터 4년 후, 천외마경2로부턴 1년 후 이야기다. 주인공은 천외마경2에서 활약했던 가부키다. 여자 밝히고 잘난 척이 심하며 시끄럽지만, 천외마경 시리즈를 통틀어 가장 개성이 강하고 인기가 높은 캐릭터이기도 하다. 가부키 단쥬로라는 이름은 16~17세기 일본에서 전통연극 가부키 배우로서 엄청난 인기를 구가했던 이치카와 단쥬로에서 따온 걸로 보인다.


천외마경2의 모험을 마치고, 가부키 배우로 돌아가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가부키. 그 앞에 천외마경1의 캐릭터 오로치마루가 나타난다. 그는 가부키와 같은 스승 밑에서 가르침을 받았던 형으로 나온다. 1편의 적이었던 대문교(데몬교)의 잔당이 마왕 카프를 부활시켜 또 세계 정복을 노리고 있다며, 가부키에게 그들을 막아달라고 한다. 그러나 가부키는 관심 없다며 거절하는데, 지팡구의 여자들이 모조리 대문교에게 납치되자 마음을 바꿔 먹는다.




초반에 전작의 주역들이 잔뜩 나와서 반갑다. 이들은 얼굴만 비추고 일행이 되지는 않는다. 그나마 비중이 높은 건 오로치마루다. 편지를 통해 여러 번 등장한다.

대몬교 잔당이 지팡구의 여자들을 납치한 까닭은 애를 낳을 수 없는 남자들만의 세상으로 만들어 지팡구를 멸망시키기 위해서다. 납치한 여자들은 런던으로 보내 가둬버렸다. 가부키와 제아미는 그들을 쫓아 배를 타고 런던으로 건너간다.


옛 일본이 무대였던 전작들과 달리 이번 작품은 영국 런던이 메인이다. 재밌는 점은 런던에 도착하면, 시스템 용어와 화폐단위가 영국식으로 바뀐다. 体力(체력)→HP、段(단)→Lv、両(량)→ポンド(파운드).
대몬교는 런던에도 마수를 뻗쳐서 포교활동을 하고 있었다. 런던의 정치가까지 포섭해서 영국을 통째로 먹으려는 속셈이었다.


전투 화면은 파이널 판타지4~6 같은 사이드뷰 방식이다. 사이드뷰 방식은 천외마경 시리즈 중 가부키전이 유일하다고 한다. 귀엽고 보기 편한 면도 있지만, 전작만큼의 전투 애니메이션이 없어서 심심한 느낌이다. 특히 적의 변신 모습이 간단히 표현된다. 보스전에선 때려서 적의 HP를 모두 소모시키면, 止め(토도메-숨통을 끊음)를 선택할 수 있다. 그걸 선택해야만 싸움을 마무리할 수 있다. 다만, 토도메를 위한 아이템이나 기술을 미리 얻지 않으면, 보스를 없앨 수 없다.


비주얼신은 당시 기준으로 풍부한 편이다. 성우가 31명이나 기용되었다고 한다. 외전이라서 천외마경1, 2만큼 긴 내용은 아니지만, 작은 볼륨에도 연출 면에서 꽤 공을 들인 느낌이다.


보스들이 등장할 땐 대부분 노래를 부른다. 주인공이 가부키 배우라서 뮤지컬 요소를 넣은 것 같다. 이 덕에 게임이 화려해 보인다. 보스들은 다 기구한 사연이 있다. 물리치면 인간의 모습으로 돌아와 마왕에게 영혼을 팔았던 지난 일을 후회한다.


전작들도 음악이 좋았지만, 가부키전도 음악이 좋다.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유명한 작곡가들이 참여했다고 한다. 천외마경 시리즈는 고평가에 음악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같다.


이 게임 히로인 오쿠니는 꽤 진행해서야 일행으로 삼을 수 있다. 오로치마루가 키운 부하이다. 지팡구(일본) 여자인 줄 알았는데, 징기스칸의 피를 이어받은 몽골계 여자다. 노출신도 살짝 나온다. PSP 이식판에선 가슴 노출 장면이 삭제될 줄 알았는데, 그대로 뒀다.


번외편인 만큼, 볼륨이 작아서 천외마경2처럼 대작 느낌은 아니지만, 실험적인 부분도 보이고 신경 써서 만든 작품이라고 본다. 마지막 스텝롤 올라가다 말고 끝판왕과 다시 대결하는 부분도 재밌었다.
전반적으로 밝고 유쾌한 분위기라서 가벼운 마음으로 즐길 수 있는 RPG다. PSP판 천외마경 컬렉션에는 이 게임 등장인물들이 나오는 격투 게임 '가부키 일도양단'도 있는데, 해보니 조잡했다. 천외마경 시리즈는 RPG만 수작이라고 생각한다.


엔딩 본 날 - 2018년 12월 25일

2018-12-12

Gamesir G3s 무선 게임패드

거실의 안드로이드TV 박스에 어울릴 게임패드를 찾아봤다. 플스1 게임까지 불편이 없도록 버튼이 최대한 많으면서 2.4ghz 무선 형식이어야 하는 게 조건이었다. 마침 중고나라에 Gamesir G3s 무선패드가 풀박스로 택배비 포함 23000원에 올라와 있었다. 알리익스프레스에서도 비슷한 가격에 살 수 있지만, 배송이 오래 걸려 바로 샀다.


종이 박스가 구겨졌을 뿐, 새 것이었다. 구성품은 게임패드, USB리시버, 스마트폰 장착용 부품, USB선이다. 만져보니 예상 이상으로 만듦새가 좋았다. 가볍고 잡는 느낌이 좋았다. 싼 티가 나지 않는다. 가격 이상의 느낌을 준다.


셀렉트, 스타트 버튼이 옆쪽으로 치우쳐서 있는 점이 특이하다. 흔히 셀렉트, 스타트 버튼이 있어야 할 자리엔 터보, 클리어 버튼이 있었다. 아쉽게도 이 버튼들은 안드로이드 에뮬에서 맵핑이 되진 않았다. 터보 버튼을 누르면 연사 기능, 클리어 버튼은 연사 취소 기능으로 보인다. 셀렉트, 스타트 버튼 위치는 생소해서 헷갈리지 않을까 했는데, 자주 쓰는 버튼들 가까이 있어서 오히려 더 편한 것 같다.
충전은 5핀 Mirco USB 케이블로 한다.


PC에 USB 수신기를 끼우고 패미컴 에뮬 Mesen으로 테스트해봤다. 바로 인식된다. 아무 문제 없이 움직일 수 있었다. 조작감이 나쁘지 않다. 버튼에 불이 들어와서 어두운 곳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개인적으론 딱히 필요없다고 보지만, 멋있긴 하다.


안드로이드 기기에도 USB 수신기를 꼽아서 해봤다. A 버튼과 가운데 버튼을 동시에 누르고 있으면 게임패드의 전원이 들어오고 연결된다. 역시 잘 인식되었다. 다소 아쉬운 점을 꼽자면, 십자키를 눌렀을 때 올라오는 반발력이 조금 약하지 않나 싶다. 그래도 이 정도면 꽤 쓸만하다. 블루투스 연결도 가능하지만, 딜레이 탓에 별로 선호하지 않아서 패스했다.
기대를 안 했는데, 가성비가 참 좋은 게임패드다.


[2019년 9월 28일 추가] 별로 쓰지 않았는데, 왼쪽 아날로그 스틱이 고장 나버렸다. 분해해보니 납땜 녹여 부품을 교체하지 않는 한, 고칠 수 없게 되어 있었다. 배터리와 십자키 등 일부 부품 남기고 쓰레기통 직행. 좋은 패드였는데, 금방 이렇게 되어서 또 사고 싶진 않다.

2018-12-10

슈퍼패미컴 케이스+안드로이드 S905X 기기 완성기

닌텐도에서 클래식 미니 슈퍼패미컴를 내줬지만, 사지 않았던 까닭은 사놓고 쓰지 않을 것 같아서였습니다. 게임기는 전원을 켜서 게임을 돌리지 않으면 존재 가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클래식 미니는 해킹해야 내가 원하는 게임을 즐길 수 있는데다가 치트 쓰기도 불편하고 여러 제한이 걸리기 때문에 제 성향상 방치하게 될 것이라고 봤습니다. 하지만 슈퍼패미컴 기기에 대한 향수 때문에 다른 대안을 찾았습니다. 중국 Retroflag에서 나온 라즈베리파이용 슈퍼패미컴 케이스 SuperPi입니다.


지마켓 해외배송으로 주문했더니 3주 만에 도착했습니다. 이제 라즈베리파이를 사서 끼우기만 하면 되는데, 제가 선택한 건 라즈베리파이가 아닌 안드로이드 기기였습니다.
안드로이드 박스의 성능과 편의성에 익숙해진 제가 라즈베리파이엔 만족하지 않을 것 같아서죠.

S905X 칩셋의 안드로이드 박스가 라즈베리파이보단 기본적으로 성능이 더 나은데다가 몇몇 에뮬은 레트로아크보다 안드로이드용 .emu 쪽이 개인적으로 더 편합니다. 특히 슈퍼패미컴 에뮬은 Snes9x.emu이 편하더군요(메가드라이브나 PC엔진 에뮬은 성능상 레트로아크 씁니다). 유튜브, 네이버TV, V LIVE 보는 것도 안드로이드OS가 좋아서 라즈베리파이는 탈락. 그래서 SuperPi 케이스에 딱 맞는 안드로이드 기기를 찾았습니다. 라즈베리파이3와 똑같은 모양으로 나온 기기가 두 종류 있더군요. 우리나라 회사가 만든 오드로이드C2, 중국 회사가 만든 Le Potato입니다.

Le Potato(왼쪽) / ODROID-C2(오른쪽)
라즈베리파이와 기판 배치가 똑같다

오드로이드C2는 S905, Le Potato는 S905X 칩셋을 썼습니다.
CPU 속도엔 차이가 없지만, S905X는 S905를 기반으로 HDR, 4K@60fps VP9, HDMI 2.0a, 오디오 DAC 지원 등이 추가된 개선판입니다.

Le Potato는 안드로이드뿐 아니라 레트로파이, Lakka, LibreELEC, 우분투 운영체제를 지원합니다. 월광보합 같은 것도 가능한 걸로 압니다.
S905X 칩셋은 라즈베리파이3B, B+보다 발열이 덜하고, 속도가 다소 빠르며 3D 성능에서 앞섭니다. 몇몇 동영상 코덱도 하드웨어 차원에서 지원합니다. Le Potato에서 아쉬운 점은 와이파이와 블루투스가 빠져 있습니다. 게임패드를 무선으로 쓰려면 2.4g 수신기 지원하는 거 써야겠습니다. 인터넷은 유선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와이파이와 블루투스는 안드로이드용 USB 모듈을 끼우면 된다고 하더군요.

Le Potato와 오드로이드C2는 가격이 비슷한데, 미국 아마존에서 Le Potato용 할인쿠폰을 뿌리길래 Le Potato를 구입했습니다. 할인받지 않으면 라즈베리파이보다 싸다고 할 수 없습니다. 1기가와 2기가 모델이 있는데, 전 2기가 모델 선택. 안드로이드를 쓰려면 EMMC 모듈도 함께 주문해야 합니다. 레트로파이 등 다른 운영체제는 Micro SD카드에 넣어서 쓰면 되지만, 안드로이드는 빠른 저장장치를 요구하더군요. 16기가 용량의 EMMC 모듈을 함께 주문했습니다.


아마존에서 직접배송으로 주문한 지 열흘 만에 도착했습니다.


EMMC 모듈은 기기 뒷면에 꽂아주면 작동합니다. 이 EMMC 모듈에는 안드로이드 7.0 누가 버전이 들어 있습니다.


슈퍼패미컴 케이스 SuperPi에 Le Potato를 장착합니다. 딱 맞습니다. 조립은 나사만 돌릴 줄 알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케이스 아래쪽 Micro SD 투입구에 기기의 카드 장착구가 제위치에 오도록 보면서 끼우는 것입니다. 좀 비뚤게 장착하면 케이스 밖에서 카드가 안 들어갈 수 있습니다.


방열판은 따로 파는데, 전 서비스 중단되어서 쓸 일이 없어진 티빙스틱을 분해해서 빼왔습니다. 3M 양면테이프로 칩셋 CPU 위에 방열판을 붙여줍니다. 사실 라즈베리파이B+와 달리 방열판 없어도 발열 걱정할 수준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냥 버리긴 뭐해서 붙여줬습니다. SuperPi엔 쿨러 장착 공간도 따로 있긴 한데, 소음이 발생해서 개인적으로 선호하지 않습니다.


완성된 모습입니다. 위쪽 슈퍼패미컴 로고와 아래쪽 문구는 구닥동 네오소울님의 데칼 스티커를 이용했습니다. 매직블럭으로 원래 글자 지우고 미리 스티커 붙여놨죠.


전원선은 Micro USB 5핀입니다. USB 전원선과 HDMI 케이블을 TV에 연결하고 TV를 켜면 바로 안드로이드로 부팅됩니다. TV USB 전원이라 TV를 끄면 기기도 꺼집니다. 케이스의 전원 버튼, 리셋 버튼도 이상 없이 작동합니다.


부팅하면 아래와 같이 안드로이드 TV 화면이 나옵니다.


안드로이드 박스에서 흔한 중국 MBOX 런처입니다.


편한 조작을 위해 에어마우스 무선 리모컨을 씁니다. 2.4g 무선이고 USB에 리시버 장착해서 씁니다. 기어베스트에서 15000원 주고 직구한 건데, 마우스, 키보드 조작, 음성 입력 다 됩니다. 웹서핑할 때 편합니다. 네이버TV 앱 조작할 땐 꼭 있어야 하겠더군요.

잘 되나 싶었는데, 여기서부터 고난이 시작됩니다. EMMC에 깔린 안드로이드 7.0 누가 버전이 TV OS가 아닌 폰 버전이라 일단 조작이 불편합니다. 이건 그냥 넘어갈 수 있었는데, 구글플레이서비스가 없습니다. 그게 없으면 유튜브 앱이 작동을 안 합니다. 따로 구글플레이서비스 apk 파일을 구해서 깔아봤지만, 안 깔립니다. 외장 Micro SD 카드에 담긴 몇몇 apk 파일도 클릭하면 버전이 안 맞는다며 설치가 안 됩니다.

OS 문제라고 생각해서 OS 업그레이드를 시도했습니다. Le Potato의 제작사 공식 사이트에는 안드로이드 8.0 오레오 버전이 있어서 그걸 내려받은 뒤,  USB Burning Tool로 롬을 갈아치우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제 PC에서 Le Potato가 USB 인식이 안 되더군요. 관련 포럼을 한참 찾아보니 기기 옆면 왼쪽 위 USB포트에 연결해야 인식된다는 글이 있었습니다. 그대로 하니 쉽게 성공(되도록 컴퓨터 앞면 USB포트보다는 뒷면 쪽 이용하는 게 좋음).

이제 되겠지 싶었는데, 오레오에서도 구글플레이서비스 없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게다가 외장 Micro SD 카드의 apk 파일 전부가 아예 설치가 되지 않습니다. 별의별 방법을 다 써봤지만, 이 상태론 못 쓰겠다 판단하고 다른 커스텀롬을 찾아 헤맸습니다. S905X용 롬이라면 대부분 호환은 됩니다.

롬 깔고 테스트하기를 다섯 번은 반복한 것 같습니다. 대부분 구글플레이서비스가 안 되거나 외장 카드 인식 문제가 있어서 쓸 수 없는 펌웨어였습니다.

겨우 그럭저럭 돌아가는 커스텀롬을 찾아냈습니다.
Beelink Mini MX3 II / M8S II TVStock Nexus ROM입니다. 이건 스마트폰용이 아닌 Android TV OS라서 조작이 더 편합니다. 그리고 구글플레이서비스와 스토어도 잘 작동하네요. 좀 지난 2017년 버전이고, 루팅 폴더 건드는 앱 선택시 에러 메시지가 가끔 뜨긴 하지만, 사용상 큰 불편은 없어 보입니다. 문제는 외장 카드에 있는 NES.emu와 SNES9X+.emu apk 파일이 안 깔립니다. SNES9X+는 구글플레이스토어를 통해 설치하니 깔립니다. 유료 에뮬인 NES.emu가 문제인데, 이건 레트로아크로 대체해도 되니 상관 없을 것 같습니다.
제가 원하는 앱들 테스트해보니 대부분 잘 돌아가서 이 롬에 정착하려 합니다.
(*추가 - www.atvxperience.com에서 제공하는 안드로이드TV OS도 잘 돌아감)



장식용으로 모셔두기보다는 직접 쓰려고 만들었습니다. 앞으로 에뮬 게임+유튜브+스포츠 중계 감상용으로  쓸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