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9-28

드래곤볼Z 초사이야 전설 SFC


슈퍼패미컴이 나오고 1년 반이 지난 1992년 6월, 스트리트 파이터2가 슈패에 이식되어 큰 화제를 모았지만, 내가 가장 하고 싶었던 슈패 게임은 드래곤볼Z 초사이야 전설(92년 1월 발매)이었다. 원작 만화와 패미컴판 RPG를 너무 좋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중에 용돈을 모아 슈퍼패미컴을 살 때 같이 산 롬팩은 스트리트 파이터2였다. 고민했지만, 동생이나 친구들과 할 수 있는 게임은 일본어 투성이 RPG인 드래곤볼Z보다는 격투 게임인 스파2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드래곤볼Z 할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몇 년 지나서야 롬팩을 디스켓으로 복사할 수 있는 기기 UFO로 드래곤볼Z를 할 수 있었다.

슈퍼패미컴의 확대 축소 기능을 활용한 전투 장면에 잠시 혹하긴 했지만, 패미컴판보다 캐릭터들의 동작이 어색해 보였다. 패미컴판처럼 필드에서 카드숫자로 말판놀이처럼 나아가는 방식이 아니라 자유롭게 움직이는 점은 좋았다. 음악도 좋았다. 그러나 너무 잦은 랜덤 인카운터와 헤매기 쉬운 길찾기는 짜증을 유발했다. 힘들게 끝을 봤지만 패미컴판의 감동은 없었다.
세월이 흘러 문득 다시 하고 싶어서 에뮬로 돌려봤다. 쉽게 하기 위해 치트를 써서 랜덤 인카운터를 없애고 경험치를 올려놓고 시작했다.

치트로 초반부터 초사이야인 손오공으로 플레이 가능.

재밌는 점은 게임에 안 나오는 숨겨진 데이터를 치트로 꺼낼 수 있다는 것이다. 초사이야인 손오반, 초사이야 거대원숭이 손오반(베지터)을 나오게 할 수 있다. 초반부터 손오공과 손오반을 초사이야인으로 만들어놓고 해봤다. 이 게임은 초사이야인이라고 해도 레벨업이 안 되어 있으면, 손오공 형 라데츠한테도 고전한다. 레벨을 치트로 올려 전투력(BP)이 높아지니 버틸 수 있었다. 라데츠는 그냥은 못 이기고 원작대로 손오반의 박치기 공격과 손오공의 살신성인이 있어야 이길 수 있는데, 미스터 포포를 구해주고 오반 카드를 얻어야 한다.


베지터전은 오반과 피콜로만으로 너무 빨리 이겨버리면, 진행불가가 되어 버린다. 정상적인 플레이에선 이런 일이 드물지만, 치트로 전투력을 높여놨기에 한 번 진행불가를 맛봐서 처음부터 다시 해야 했다.

베지터는 나메크성에서 잠시 우리편이 되지만, 전투에서 멋대로 딴청 피우는 등 뺀질거린다.

나메크성에선 원작에도 안 나왔던 동굴이 나오는데, RPG의 흔한 던전을 따라 만든 모양이다. SF에 왠 던전? 특히 최고 장로 집으로 가는 길은 긴 편인데, 적 출연이 잦아서 상당히 귀찮다. 적 안 나오게 하는 치트로 쉽게 갔다.


역시 치트를 써서 손오반과 베지터를 거대 원숭이로 만들어봤다. 그냥 원숭이도 있고 초사이야 원숭이도 있는데, 얼굴 색만 달라지지 전투 화면 안의 모습은 똑같다. 기술은 주먹질뿐이라 아쉬웠다. 초사이야인 손오반 설정은 원작에 없지만, 게임 제작자가 생각은 한 것 같다. 그러나 제작 시간이 부족한 탓인지 아니면 원작자 허락을 못 받은 탓인지 게임에선 초사이야인을 볼 수가 없었다. 만들다만 데이터를 치트로 꺼낸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 변신한 프리더를 이기면 도망갔다가 랜덤 인카운터로 4번 나타나는데 치트를 켜두면 영영 만날 수가 없어서 이 부분은 정상적으로 진행해야 했다.


프리더 마지막 변신 상태에서 손오반과 베지터 둘로만 3턴 안에 이겼더니 손오공도 없이 손오반만 나오고 엔딩이었다. 이왕 한 거 완벽히 끝을 보고 싶어서 프리더전을 다시 했다. 완전체 프리더를 오반과 베지터로 상대하며 일부러 3턴 넘기니 손오공이 합류했다. 일행 전원이 최고 레벨인 상태에서 손오반만 프리더에게 죽게 하니 손오공이 분노하며 초사이야인으로 변신했다. 유명한 비기다.

"나는 슈퍼 사이야인 손오공이다아아앗!!"
잘 보면 초사이야인 손오공의 머리카락이 원작처럼 위로 뻗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그냥 머리색만 바꾼 것이다. 베지터야 원래 위로 뻗친 머리이니 상관 없지만,
손오공은 머리를 새로 그렸어야 했다. 성의 없다. 
치트로 베지터를 초사이야인으로 만들어 프리더와 대결

베지터가 생존한 상태로 프리더를 물리치면 엔딩 나오다 초사이야인 베지터가 덤빈다.

"크크크… 프리더는 죽었다. 그 놈을 없앤 덕에 이 베지터님은 궁극의 파워를 손에 넣었다!!
쓰레기 자식… 지구에서 당한 걸 갚아주마!! 우주의 새로운 지배자는 바로 나다!!"
야지로베 카드 사용. 그러나 베지터에게 아무런 데미지를 주지 못한다.
초사이야인 손오공의 가메하메파!

초사이야인 베지터를 이기면 진엔딩이다. 진엔딩이라고 해봐야 우주선의 지구 착륙 장면 정도 추가될 뿐이다. 반다이 게임은 예전부터 엔딩이 간소한 편이었다.

"우주를 공포로 떨게 했던 프리더. 초사이야인이 되어 프리더조차 뛰어넘는 힘을 얻었던 베지터.
전우주를 공포로 떨게 했던 자들은 이제 사라졌다!! 이로써 진정한 평화가 찾아왔다." 

몇 시간 동안 잠시 추억에 잠길 수 있었다. 원작과 다른 요소를 더 많이 집어넣었으면 하는 아쉬움은 있지만, 이 게임이 나올 당시엔 모니터로 틀어놓은 용산 게임점이 꽤 많았다. 1992년 일본 게임 잡지에서는 ‘슈퍼패미컴 기능을 풀로 활용한 애니메이션 배틀. 드래곤볼 팬이라면 절대로 놓치지 말아야 할 작품’이라고 평했다.
개인적으론 패미컴판을 더 재미나게 했지만, 슈퍼패미컴판도 나름의 매력이 있었다.


에뮬로 엔딩 본 날 - 2018년 9월 27일 

2018-09-26

사크Ⅲ PC엔진판


사크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 원작은 마이크로캐빈이 1993년에 일본산 컴퓨터 PC9801로 내놨고, 그걸 1년 뒤 NEC가 PC엔진으로 이식했다. PC엔진판은 그래픽 수준이 올라갔고, 등장인물의 성우 음성도 추가되었다.


사크2로부터 2년 뒤의 이야기(외전인 사크 가젤의 탑으로부턴 1년 뒤)다. 전쟁의 신 듀엘의 피를 이어받은 전사 라토크와 요마 3장군 중 가장 강한 조무 디자에의 싸움이 펼쳐진다. 전작과 일러스트가 바뀌어서 등장인물들이 전작과 다른 느낌이다. 초반 분위기도 전작과 달리 어둡다. 요즘 가정용 게임기에서는 보기 힘든 잔혹한 장면이 프롤로그에서 나온다. 요마 장군이 왕국을 습격해서 병사들 사지가 잘려나가고, 용감히 맞서던 왕은 목이 잘린다. 그리고 잡힌 공주마저 목이 뽑힌다. 인정사정 없는 전개에 놀랐다.


그 뒤로도 과격한 전개가 이어지나 기대했는데, 초반만 그랬다. 이 뒤는 충격적인 장면 같은 건 안 나온다. 게임은 나쁘지도 않지만, 그리 좋지도 않은 평작이라고 본다. 음악이 좋은 것도 아니고 액션이 통쾌한 것도 아니다. 시원시원함은 오히려 전작이 더 낫지 않았나 싶다.


막판 요마계로 가기 전에 뺑뺑이 돌리는 이벤트가 있고, 끝판왕 만나러 가는 길이 길고 퍼즐 요소가 있어서 짜증이 좀 났다. 요마왕을 물리치면, 요마계, 인간계, 요정계가 하나가 되고 평화가 찾아온다. 주인공 라토크는 세 여인의 사랑을 받고 있는데, 그 중 요정 픽시는 요정들의 여왕이 되어서 일단 주인공과는 헤어지게 된다. 남은 건 마을의 소꿉친구와 일편단심 프레이다. 주인공은 어느 한 명을 선택하지 않고 어장관리로 끝을 맺는다.


3편은 완결작으로선 다소 아쉬웠다. 1, 2편에 점수를 더 주고 싶다. 이로써 어린 시절 해보고 싶어서 군침만 흘렸던 사크 3부작을 끝냈다. 에뮬은 레트로아크를 썼는데, 강제 세이브와 로드를 남발하면 가끔 게임패드 조작에 문제가 생기기도 했다. 그래도 클리어~


엔딩 본 날 - 2018년 9월 26일

안드로이드TV 기기로 에뮬 게임

안드로이드TV 기기는 영상 감상과 에뮬 게임하는 데 쓴다. PC보다 전기를 훨씬 덜 잡아먹고, 무소음이며, 리모컨이나 게임패드만으로 조작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패미컴 클래식 미니 세트
성능과 자유도 면에서 3만원짜리 안드로이드TV 기기보다 떨어진다.
레트로 게임 기기로 슈퍼패미컴 클래식 미니, 패미컴 클래식 미니 등이 나와 있지만, 안드로이드TV 기기 쪽이 더 싸고, 성능도 더 좋으며, 세팅만 잘해두면 에뮬 게임도 더 편하게 할 수 있다.
내가 가지고 있는 안드로이드TV 기기는 세 종류이다.

Transpeed S805 스틱
Amlogic S805 칩셋에 메모리 2기가짜리 모델. 손바닥보다 작은 스틱형이며 TV USB 전원만으로 작동한다. TV를 켜면 전원이 들어오고 TV를 끄면 전원이 꺼져서 아주 편하다.
S905 칩셋이 나오기 전까진 주력으로 썼다.

옛날 운영체제인 킷캣이 깔려 있다. 펌업하다가 먹통이 되었는데, 공식 롬이 없어서 커스텀롬을 입혔더니 메모리가 1기가만 잡힌다. 나중엔 SD카드용 OS인 ScottELEC를 설치해서 써봤다. ScottELEC는 동영상 앱 KODI 기반의 OS이며 이 안에 에뮬 게임 앱인 레트로아크(Retroarch)가 플러그인으로 있어서 동영상 보기뿐 아니라 게임도 가능하다. 기존 안드로이드 OS가 아닌 이걸 쓰는 까닭은 동영상 성능이 더 좋기 때문이다. 특정 코덱의 동영상은 화질이 더 좋게 나온다.

Coowell V5 S905X 스틱
S805보다 향상된 S905X 칩셋이다. 메모리는 1기가짜리다. 블루투스도 없다. 칩셋 말고는 전에 앞선 모델보다 나은 점이 없다. S805보다 성능이 나은 칩셋이라곤 하지만, 슈퍼패미컴 수준의 에뮬 게임에선 그 차이를 느끼기 힘들었다. 1년쯤 쓰다가 어느날 무선랜이 잘 안 되기 시작했다. 루팅된 커스톰롬을 입혀봤지만, 마찬가지. SD카드 슬롯도 이상해진 것 같다. 그냥 포기하고 오프라인으로만 쓰고 있다. 스틱형이라 TV USB 전원만으로 잘 돌아간다.



m8s PRO L

S905X보다 약간 개선된 S912 칩셋이다. 위 두 모델과 달리 박스형이고, 전원은 TV 전원이 아닌 별도 어댑터로 받는다. 유선랜과 5G/2G 와이파이를 지원하며 유튜브4K 영상도 볼 수 있다. 리모컨도 함께 들어 있다. 위의 스틱형 제품들은 스마트폰과 다를 바 없는 OS를 쓰지만, 이 모델은 안드로이드TV OS를 쓴다. 특징은 터치가 아니라 리모컨 조작에 맞게끔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기본 유튜브 앱도 TV용이라서 조작이 편하다. 스틱이 아니라 박스형이다 보니 크기는 다소 커지지만, 발열엔 좀 낫다고 본다.

집에 TV가 두 대 있는데, FHD TV엔 Coowell V5 S905X 스틱, UHD TV엔 m8s PRO L을 달아놨다. 이 두 기기 가지고 에뮬 게임한다.

안드로이드용 추천 에뮬
내가 쓰는 안드로이드용 에뮬은 다음과 같다. 게임보이, 원더스완 등 휴대용 게임은 휴대 기기에서 하는 게 낫다고 생각해서 안 깔았다.

MSX - MSX.emu
패미컴 - NES.emu
슈퍼패미컴 - Snes9x EX+
네오지오 - NEO.emu
PC엔진 - 레트로아크
메가드라이브 - 레트로아크
플레이스테이션1 - 레트로아크
오락실 게임 - 레트로아크


사실 MSX, 패미컴, 슈퍼패미컴, 네오지오 게임은 레트로아크에서도 다 돌아간다. 레트로아크 하나만 깔아도 모든 에뮬 게임을 다 할 수 있지만, .emu 시리즈 에뮬을 따로 쓰는 건 사용법이 나한테 더 익숙하고 편하기 때문이다. 다만, PC엔진과 메가드라이브 게임은 PCE.emu, MD.emu의 사운드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레트로아크를 쓴다. 메가드라이브 게임을 MD.emu와 레트로아크 제네시스 코어에서 각각 돌려서 비교해봤는데, 배경음악의 질이 달랐다.


플레이스테이션1 게임은 ePSXe라는, PC용으로 유명한 에뮬이 안드로이드용으로 있다. 친숙해서 처음엔 이걸 선호했는데, 몇 가지 게임이 가끔 버벅거리는 걸 보고 지워버렸다. 레트로아크로 해보니 더 잘 돌아가서 굳이 ePSXe를 고집할 필요가 없었다. 현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에뮬 게임은 성능상 플스1 게임이 한계가 아닌가 싶다. 그 이상은 에뮬이 완벽하지도 않다. 오락실 게임은 굉장히 많은 게임을 돌릴 수 있지만, 코어에 따라 롬파일을 무척 가린다. 해당 코어에 맞는 롬파일을 넣어야만 돌아간다. 돌려본 결과 mame 코어 쪽은 좀 느리거나 멈추는 등 문제 있는 게임이 꽤 있어서 파이널번(fbalpha_libretro) 코어에서 잘 돌아가는 게임만 넣어뒀다.

에뮬 게임용 게임패드
에뮬 게임을 제대로 즐기려면 게임 패드가 필수다. Coowell V5 S905X엔 로지텍 F710 게임패드, m8s PRO L엔 듀얼쇼크3를 무선 연결해서 쓰고 있다.


로지텍 F710 패드는 2.4Ghz 무선 연결 방식이며, USB 수신기를 기기에 끼우면, 안드로이드에서도 무선으로 쓸 수 있다. 십자 키의 감촉이 그리 좋은 편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만족한다. 듀얼쇼크3(정확히는 진동 기능 빠진 육축 패드)는 보통의 방법으론 안드로이드 기기에 무선 연결이 안 된다. 일단 루팅된 기기여야 하고, Sixaxis Controller 어플을 깔아야 무선 연결이 된다. m8s PRO L은 루팅된 넥서스 롬이어서 가능했다.


듀얼쇼크3는 블루투스 연결이라서 로지텍 F710처럼 수신기는 필요 없었다. 난 블루투스 방식의 게임패드를 좋아하지 않는다. 2.4Ghz 무선 연결보다 입력시 딜레이가 있기 때문이다. 전에 8bitdo에서 나온 블루투스 게임패드를 써봤는데, 입력 딜레이가 느껴져서 방출해버렸다. 그런데, 듀얼쇼크3는 좀 나은 편이었다. 그래서 그냥 쓴다. 유선 게임패드는 딜레이가 없지만, 요즘 와서 유선으로 게임하기엔 선이 너무 걸리적거린다.
게임 패드는 버튼이 많을수록 좋다고 본다. 강제 세이브/로드, 게임 스피드 올리기, 몇 초 전으로 되돌리기 등 여러 기능을 버튼에 지정해두면 게임을 더 편하게 클리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 경우는 강제 세이브/로드는 L2, R2 버튼에 할당하는 편인데, 플스1 게임의 경우는 그 버튼까지 기본으로 쓰는 게임이 꽤 있어서 겹친다. 버튼이 더 있으면 이럴 일이 없다.
안드로이드TV에서 게임패드는 게임 조작뿐 아니라 리모컨 대용으로도 쓸 수 있어 편하다.

에뮬 설정
.emu 시리즈는 비교적 실행이 쉽다. 게임패드만 할당해두면, Load Game으로 게임롬 찾아서 실행하면 끝이다.


.emu 시리즈의 메뉴 구성은 다 비슷하다. 다만, 패미컴 디스크 게임의 경우는 디스크 시스템 바이오스 파일을 찾아서 선택해줘야 실행이 된다.
레트로아크는 메뉴가 너무 많아서 복잡한 편이다. 일단 게임을 하려면 그에 맞는 코어 파일이 필요하다. 거의 대부분의 레트로 게임이 실행 가능한데, 그 중에서 나는 PC엔진(mednafen_pce_fast_libretro), 메가드라이브(genesis_plus_gx_libretro), 플레이스테이션1(pcsx_rearmed_libretro), 파이널번(fbalpha_libretro) 코어만 설치했다. 메뉴의 코어 업데이트에서 필요한 코어를 골라 다운받으면 된다. 내 Coowell V5 스틱은 무선랜에 문제가 있었기에 코어 다운도 잘 안 되었다. 그래서 레트로아크 홈피 가서 코어를 PC로 내려받은 다음, 기기의 코어 폴더에 강제로 넣어줬다. 이건 루팅된 롬에서만 가능한 방법이다. 루팅되지 않은 일반 롬에선 저 폴더 자체가 안 보인다.
코어를 선택한 뒤, 그 코어에 맞는 게임을 실행하면 된다. 하지만 레트로아크는 다른 기능이 너무 많아서 자기에게 맞게 바꾸려면 수고가 필요하다. 나는 게임 패드 맵핑과 한국어 메뉴, 테마 변경 정도 해준다.

필요한 게임만 넣자 
에뮬 게임 롬파일을 잔뜩 집어넣으려고 고용량 SD카드까지 구입하기도 하지만, 게임을 많이 넣어봤자 동시에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한 게임 클리어하는 데 시간이 꽤 걸린다. 클리어하고 지우고 다른 게임 넣는 식으로 해도 충분하다. 게임이 많으면 오히려 한 게임에 집중을 못 하고 금방 다른 게임으로 옮기고 싶어진다. 게임의 목적은 수집이 아니라 즐기는 것이라는 점을 잊지 말자.

2018-09-20

슬레이어즈 SFC


우리나라에는 <마법소녀 리나>라는 제목으로 SBS에서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애니 원작 게임.
드래곤 퀘스트나 파이널 판타지 같은, 전형적인 그 시절 JRPG 형식을 취하고 있다. 걸작까지는 아니지만, 옛날에 게임월드 잡지에서 공략을 해줬고 한글 패치까지 나와 있어서 우리나라엔 나름 알려진 RPG다.
슬레이어즈 특유의 느낌을 잘 살렸다. 캐릭터의 개성도 잘 살아 있고, 슬레이어즈 특유의 코믹함도 있다. 다만, 애니 원작을 보지 않았던 사람들에게는 생소할 수 있는 부분이 많다. 원작을 안다면, 친숙한 캐릭터가 등장할 때마다 반가울 것이다.


게임은 애니에 없던 오리지널 시나리오다. 주인공 리나는 어찌 된 일인지 기억을 잃은 상태였고, 그의 친구들은 그를 알아보지만, 주인공은 그들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런 혼란한 상태이지만, 각 마을을 여행하면서 각종 의뢰를 받고 해결해나간다. 주인공과 그 동료들이 너무 강해서 이렇다 할 적수가 없다.

  
슈퍼 패미컴 기준에선 나쁘지 않은 그래픽이지만, 음악은 다소 평이하다. 전체적으론 요즘 즐기기엔 여러 모로 인내심이 필요하다. 적 랜덤 인카운트율도 높은 편인데, 적 안 나오게 하는 치트를 못 찾았다. 몇 시간 하다가 지루해서 유튜브로 엔딩을 보고 끝내버렸다. 엔딩을 보니 놀라운 반전이 있었다. 그걸 보니 그냥 참고 할 걸 그랬다.

<여기서부터 스포>
주인공은 사실 진짜 리나가 아니었다! 적 보스가 만든 카피본들 중 하나였고, 진짜 리나 인버스는 사로잡혀 있었다. 카피본이 지금까지 레벨업해서 보스까지 물리치고 진짜 리나 인버스를 구출한 것이었다. 끝판왕을 물리치면 주인공에게 새로운 이름을 줄 수 있다. 결국 진짜 리나 인버스는 이 게임 말미에 자기 분량 없었다고 투덜거리고 얼굴 한 번 비추는 게 다다.


당시 게임월드 잡지 공략을 보고 꽤 하고 싶었던 게임이었다. 애니 원작을 좋아하기도 했고 세이브할 때 볼 수 있는 저 그림일기 내용이 재미나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 하긴 많이 지루했다. 어떤 게임이었는지 안 걸로 만족한다.